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국제수지표의 경상과 자본계정, 준비자산 증감, 오차 및 누락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란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외국의 거주자 사이에 일어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자료를 말하고,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국제수지표라고 합니다. 국제수지표는 크게 차변(debit)항목과 대변(credit)항목으로 구성되며, 분석목적에 따라 전체 항목들은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IMF 국제수지의 표준항목 분류체계별 주요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경상계정 경상계정의 구성항목은 상품 및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및 경상이전수지로 변경되었습니다. 상품.서비스수지는 다시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로 구분되며 상품수지에는 개편 전 무역수지에 계상되었던 재화의 수출과 수입은 물론 무역외수지에 계상되었던 운수조달재화 및 재화수리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2022. 7. 19.
경제적요인과 기타요인의 환율변동 환율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겠습니다. 환율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물가, 경제성장률,수출입,국내외 금리수준,통화량 등의 기초적 경제요인(fundamentals)과 시장분위기,새로운 뉴스 등의 심리적 요인,통화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경제적 요인 물가 :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척도인 도매물가 및 소비자물가의 상승률은 그 나라의 통화당국에 있어서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예를 들면 미국의 도매물가 및 소비자물가의 상승률이 높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강하면 통화당국은 긴축기조의 금융정책을 취하게 됩니다. 그러면 미국금리는 올라가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달러는 강세가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낮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없으면 미국 통화당.. 2022. 7. 19.
외환포지션의 개념과 포지션 분류, 기일 분류 외환포지션(foreign exchange position)은 기업이나 은행이 보유한 외화로 표시된 순자산의 상태, 즉 외환거래의 매도액과 매입액의 차액을 말합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일정 시점에서 기업이나 은행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표시자산과 외화표시부채와의 차액을 말하며 외환위험에 노출된 부분을 의미합니다. 포지션 상태에 따른 분류 롱 포지션(Long position)은 외환거래의 결과 일정시점에서 외화표시 보유자산이 외화표시부채를 초과하는 상태입니다. 롱 포지션은 매입초과 포지션이라고도 합니다. 롱 포지션 상태에서 해당통화가 강세를 보이면 환차익을 얻게 되며, 반대로 약세를 나타내면 환차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어느 수출업자가 수출상품을 선적한 후 3개월 후에 수출대금을 미달러로 받는 경우 다른.. 2022. 7. 18.
외환의 개념과 종류 오늘날 외환이라는 말이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외환의 정의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합니다. 미국에 있는 회사로부터 상품을 구입하고 상품대금을 미국으로 보내거나, 미국의 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자녀에게 학비나 생활비를 송금하는 경우, 우리는 은행에 가서 원화를 지불하고 그에 상당하는 미국 달러화로 교환하여 송금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외국으로 상품대금이나 학비 등을 송금할 때 사용되는 수단을 외환이라고 합니다. 외환의 개념 환이란 서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들끼리 현금을 보내는 불편과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제3자인 금융기관을 이용하여 지급 위탁의 방식으로 결제하는 수단입니다. 환은 내국환과 외국환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국내에 있는 사람들 간의 거래를 결제하기 위한 환은 내국환이라.. 202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