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 완전경쟁시장과 단기, 장기 공급곡선의 경쟁균형시장 경쟁적인 기업이 산출량을 얼마나 생산할지 예측하기 위해서 경제학자들은 완전경쟁이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완전경쟁이론과 완전경쟁시장에서 단기와 장기의 경쟁균형시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기 공급곡선의 경쟁균형시장 기업의 목적은 기업의 경제적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가정됩니다. 비록 많은 관리자들의 행동들에 지나치게 목적성을 부여하는 것이 비현실적으로 보이겠지만 시장에서의 경쟁 압력은 이러한 가정을 비현실적으로 보이겠지만, 시장에서의 경쟁 압력은 이러한 가정을 그럴듯하게 만듭니다. 경제적 이윤은 총수입에서 생산에 사용된 모든 자원들의 비용을 차감한 것입니다. 경제적 이윤과 회계적 이윤을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회계적 이윤은 총수입에서 사용된 자원의 명시적 비용을 뺀 나머지입니다. 완견경쟁의 경제모형은.. 2022. 8. 5. 자기이익 모형과 합리적 선택에서 벗어나는 요인 사람들이 좁은 의미에서의 자기이익을 챙기고 가용한 모든 정보로부터 아무런 오류를 범하지 않으면서 의사결정을 위한 추론을 도출한다고 가정하는 표준적인 합리적 선택 모형들은 현실 상황에서 실제 사람들이 내리는 결정을 늘 정확하게 예측하지는 못합니다. 이러한 자기이익 모형과 표준적인 합리적 선택 모형에서 벗어나는 요인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기이익 모형의 기회주의 모두가 기회주의적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하는 자기이익 모형은 우리가 현실에서 목격하는 사람들의 행태와 배치되는 예측들을 많이 내놓습니다. 자기이익모형이 예측하는 바대로 행동하지 않는 이들은 설령 자신이 그렇다는 것을 알더라도 대개 후회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미래에 자신의 편협한 이익에 반하여 행동하도록 요구하는 믿을만한 약속이나 위협을 하지 못할.. 2022. 8. 5.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소득의 시장수요 합리적 선택 모형을 이용하여 어떤 상품에 대한 개별 소비자의 수요를 도출하고 그 수요가 소득이 변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살펴보겠습니다. 가격변화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가격 변화에 대해서 구매 결정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품들은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는 상품들입니다. 상품가격이 오르면 가까운 대체재를 이전보다 더 선호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쌀의 가격이 오르면 대체재인 밀을 더욱 선호하게 됩니다. 이를 가격 인상의 대체효과라고 부릅니다. 가격인상의 두번째 효과는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로 나타납니다. 정상재의 경우 구매력 감소는 구매량 감소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열등재의 경우는 그 효과는 반대로 나타납니다. 구매력 감소는 열등재의 구입량이 늘어나게 만듭니다. 구매력 변화로 인한 구.. 2022. 8. 4. 노동시장이론과 화폐수요이론 균형고용량이 항상 완전고용 수준이 되는 노동시장모형과 다르게 일자리를 구하려는 시업자와 일할 사람을 찾는 기업 간의 매칭에 의해 자발적이고 구조적 실업이 결정되는 노동탐색모형을 살펴보고 노동자와 기업 간 미스매치를 가져온 산업충격이 경기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명목임금 경직성의 미시적 기초와 여러나라에서 관측되어 온 실질임금 경직성의 미시적 기초를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노동시장이론 모텐센과 피사리데스가 균형노동탐색모형으로 일반화시키면서 노동경제학과 거시경제학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제공하는 일자리는 서로 다르고 노동자들 또한 각자 다른 특성들을 갖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탐색하는 노동자들의 기대수익은 취업에 성공하는 경우 받게 되는 실질임금과 실패하는 경우.. 2022. 8. 2.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