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고정환율제도와 환율정책의 효과 외환보유고의 증감으로 나타나는 중앙은행의 외환시장개입은 국제수지의 균형달성에 필수적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중앙은행의 개입정도 및 방법은 환율제도에 따라서 커다란 차이가 있습니다. 환율제도에는 자유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가 있고, 그중에서 고정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에서의 환율정책의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정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는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을 특정 단일통화나 복수통화에 대해 일정 수준으로 고정시키는 제도입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고정환율제도는 1970년대 초까지 오랫동안 세계 각국이 채택한 환율제도였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1870년대부터 국제적으로 확립된 금본위제도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통화기금에 의해 운영된 브레튼우즈체계 입니다. 금본위제도에서 환율은 금을 .. 2022. 7. 30.
자산가격의 결정 및 자산과 부채의 거시경제 금융시장 참가자들 간 정보 비대칭성과 불완전 계약이행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자산가격의 상승과 하락 등 거시경제 여건의 변화와 가계 및 기업, 금융기관 부문의 자산과 부채의 변화는 국가경제의 소비와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산가격의 결정 전통적인 자산가격 결정 이론에 의하면 채권,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은 자산 보유로 얻을 수 있는 미래 소득흐름의 기대현재가치 합으로 결정됩니다. 채권가격은 채권보유에 따른 소득흐름은 만기일, 액면가, 그리고 이표채의 경우 추가적으로 쿠폰금액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채권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채권의 시장가격을 일치하게 만드는 일종의 내부수익률인 이자율을 만기수익률이라고 합니다. 장기채권 보유 전략과 단기채권 보유전략의 수익이 동일하여.. 2022. 7. 30.
화폐금융정책의 신뢰성과 유효성 및 운영체제 실업률 증가를 수반하지 않은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이 쉽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정책당국이 기대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는가의 문제, 즉 정책의 신뢰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화폐금융정책의 신뢰성과 유효성 및 운영체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화폐금융정책의 신뢰성과 유효성 정부가 초기에 입안한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 이상 최적정책이 아니게 되어 정부가 정책을 바꾸려는 유인을 갖게 되는데, 이를 최적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이라고 합니다. 민간 경제주체들이 최적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합리적으로 예상하는 상황에서 정책당국이 최적정책을 변경해도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고 오히려 사회후생을 감소시킵니다.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 단기적 상충관계가 있을 경우 중앙은행은 .. 2022. 7. 30.
소비이론과 투자이론의 발전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가 되는 경제주체들의 행위 함수, 즉 소비함수와 투자함수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비이론 항상소득 가설에 의하면 소비는 항상소득의 일정 부분으로 결정됩니다. 여기서 실제소득은 항상소득과 임시소득으로 구분되며, 항상소득은 소비자가 평생 부로부터 발생하리라고 예상하는 평균수입을, 임시소득은 불규칙하게 얻어지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평생효용을 극대화하는 소비자는 전 생애에 걸쳐 일정 수준의 소비를 유지하려 하는데, 소비에 비해 소득이 작은 유년기와 노년기에는 음(-)의 저축을 하고, 소비에 비해 소득이 큰 중년기에는 양(+)의 저축을 합니다. 따라서 연령에 따른 저축총액과 순자산 보유는 '역U자' 형을 나타냅니다. 항상소득 가설과 생애주기가설은 소비자가 기간 간 고른 소비를 선호하.. 2022.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