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제수지표의 경상과 자본계정, 준비자산 증감, 오차 및 누락

by happiness22 2022. 7. 19.
반응형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란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의 거주자와 외국의 거주자 사이에 일어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자료를 말하고,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국제수지표라고 합니다. 국제수지표는 크게 차변(debit)항목과 대변(credit)항목으로 구성되며, 분석목적에 따라 전체 항목들은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IMF 국제수지의 표준항목 분류체계별 주요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경상계정

경상계정의 구성항목은 상품 및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및 경상이전수지로 변경되었습니다. 상품.서비스수지는 다시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로 구분되며 상품수지에는 개편 전 무역수지에 계상되었던 재화의 수출과 수입은 물론 무역외수지에 계상되었던 운수조달재화 및 재화수리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수지에는 개편전의 무역외수지에서 운수조달재화, 재화수리 등 상품수지에 포함되는 항목과 투자수익 등 소득수지에 포함되는 항목을 제외환 순수 서비스거래만을 계상하였으며 통계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운수,여행,통신서비스,보험서비스,특허권 등 사용료,사업서비스,정부서비스,기타 서비스 등 8개 항목으로 세분하였습니다. 한면 소득수지에는 개편전 무역외수지에 포함되었던 투자수익수지, 급쵸 및 임금을 계상하였으며, 개편 전의 이전수지에 계상되던 이전거래를 경상이전거래와 자본이전거래로 구분하여 경상이전거래만 경상이전수지에 계상하고 자본이전거래는 자본계정에 포함하였습니다.

자본계정

자본계정은 국제자본의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국제자본거래의 장단기구분 의미가 퇴색함에 따라 장단기 구분을 폐지하고 자본의 성격에 따라 투자수지와 기타 자본수지로 구분하였습니다. 투자수지는 통화당국의 준비자산 증감을 제외환 민간기업, 금융기관, 정부의 대외금융자산 또는 부채의 소유권 변동과 관련된 거래를 계상하며 직접투자, 증권투자,기타 투자로 세분합니다. 기타 자본수지에는 자본이전과 특허권 등 기타 자산의 매매를 계상합니다. 자본이전이란 거래당사자 중 최소한 일방에게 반드시 현금 이외의 사잔에 변동을 초래하는 이전거래로서 현물형태나 현금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특허권 등 기타 자산의 거래는 특허권,저작권,상표권 등 비생산 무형자산 및 토지, 지하자원 등 비생산 유형자산의 취득 및 처분에 따른 거래를 계상합니다.

준비자산 증감

준비자산 긍감계정은 통화당국이 국제수지의 불균형을 직접 보전하거나 또는 외환시장 개입을 통하여 국제수지 불균형을 간접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외준비자산입니다. 준비자산으로는 화폐용금, 특별인출권(SDR), IMF 리저브 포지션, 외환자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오차 및 누락

오차 및 누락이란 국제수지에 계상되는 모든 거래는 복식부기의 원리에 의하여 대변과 차변에 동액이 기재되기 때문에 모든 거래에 대한 대변과 차변의 합계는 항상 일치하여 그 차액은 0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국제수지 계상에서 그 단위가 거액일 뿐만 아니라 내용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대변의 합계와 차변의 합계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사후적으로 만들어 낸 항목이 오차 및 누락항목입니다.

반응형

댓글0